🕹Defining On-Chain Gaming점프크립토에서 이번에 온체인 게임 구성 프레임워크인 ARC(Action Registry Core)를 제안했습니다. 이에 앞서 점프크립토에서는 온체인 게임에 대해 크게 3가지를 분류했습니다. 최근 개인적으로도 "블록체인에 어울리는 게임 유형은 무엇일까?"에 대해 고민이 많은 데 참고가 많이 되네요. 좋은 내용이라 공유합니다.
1️⃣Fully on-chain (FOC)모든 플레이어의 게임 상태의 모든 것을 인덱싱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중앙 집중식 게임 서버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턴 기반의 게임에 대해 적합합니다. 대표적으로 Dark Forest, 0xMonaco 등이 있습니다. 일부 멀티플레이+세션이 복잡해질 수록 현 블록체인 인프라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, 이 경우 온체인/오프체인을 엮어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이 나을 수 있습니다.2️⃣ On-chain assets (OCA)게임 서버에서 대부분의 상태 변환이 기록되지만 자산 상태에 따라 실질적인 결과가 바뀔 때 온체인에 기록하는 방식입니다. PvP 대전 격투, MMORPG, FPS 등 플레이어의 활동량이 많은 게임에 적합합니다. 이 방식에는 신속한 인덱싱,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가능 표준, 온/오프체인 통신을 위한 데이터 릴레이 인프라, 릴레이 데이터 기반 온체인 실행 등이 가능한 고성능 인프라가 필요합니다.3️⃣ Optional Cosmetic Mints (OCM)사용자가 특정 상태에서 캐릭터 자산을 NFT로 만들고 여기서 거래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. 다만 나머지 서버에 기록되는 내용은 기존 게임과 같습니다. 또는 시즌권/입장권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사용자가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.
정리하면 1은 게임 서버 신뢰의 해결, 2는 검증 가능한 자산 소유권 및 자산의 프로그래밍을 해결하며 3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.
본문에서는 결론적으로 올바른 인프라는 1, 2의 접근 방식과 3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. 그리고 점프크립토에서는 이를 위해서 기존 게임 시스템 관리 방식인 ECS(Entity Component System)에서 착안한 오픈소스 ARC를 제안했습니다. 해당 시스템이 더 궁금한 분들은 본문을 참고해주세요.
454
19